2024.10.08.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굉장한 화제와 논란을 낳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매우 환영하는 바이며 전혀 이상하지 않게 느껴진다. 수상자 중에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이야 딥러닝 분야의 최고 기여자로 늘 세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유명하고, 또다른 수상자인 존 홉필드(J. J. Hopfield)가 어떤 분인지에 대해서는 마침 작년에 썼던 글이 있어서 공유해본다 (게시물: 링크).
나야 무척 환영이지만 논쟁적인 수상이긴 할 것 같기는 한데, 심지어 물리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들 중에서도 순수물리학이 아닌 인공지능 분야가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며 비꼬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분들이 많이 있는 걸 보면 분위기가 별로 좋지만은 않은 듯하다.
먼저 사람들이 크게 오해하고 있는 부분은, AI가 성공하고 나니까 물리학이 뒤늦게 숟가락을 얻어서 시상을 했다는 생각이다. 힌튼은 또 몰라도, 홉필드의 경우 신경망 연구를 하긴 했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완전히 물리학자였고, 그 신경망 연구도 명백한 물리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연구된 것이니, 충분히 물리학상에 worth하다고 생각하긴 한다.
게다가 홉필드만 일탈적으로 그런 연구를 한게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수많은 나라의 물리학자들이 당시에 신경망 학습 연구를 했다. 과거에 트랜지스터도 물리학자들이 발명한 뒤에 공학자들에 의해 미세화되면서 전기전자공학을 뒤집어 놓은 건데, 첫 발명자인 물리학자들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것에 사람들이 큰 이의는 없듯이... 인공지능도 전혀 다르지 않은데 사람들이 잘 몰라주는 듯해서 아쉽다.
수차례 언급했듯이 딥러닝의 기초 원리(뿐만 아니라 self-supervised learning, transfer learning 등을 비롯한 상당수의 현대적 학습기법까지)는 인공신경망에 있어서 비선형 신경 동역학 관점의 간접화, 역전파법의 적용, 연산방법 혁신 및 하드웨어 연산량의 증대 등을 거쳐서, 딥러닝이 현실화되기 한참 전인 90년대경에 상당부분 수립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주도한 것은 주로 패턴 기억과 재현에 관심을 가진 통계물리학자, 신경생물학자, 컴퓨터과학자들이기도 했다. 2012년 ImageNet을 계기로 딥러닝이 실현가능한 영역에 들어온 이후의 주요 발명 중에, 내가 아는 한에서 정말로 많이 새롭다고 할수 있는건 어텐션과 트랜스포머 정도일 것 같다.
홉필드는 작년에 우리 통계물리 분야 최고 상인 볼츠만 메달도 받은 바 있는데, 그게 이번 수상의 빌드업이었나 싶기도 하다. 아카데미 상을 받는 영화들이 그전까지 다른 시상식들에서 상을 쓸어담는 레이스를 하면서 분위기를 뜨겁게 달구는 것처럼, 과학계도 각 분야 최고 상을 휩쓰는 흐름이 노벨상 수상에 지표가 되는 그런 게 좀 있는 듯하다. 찾아보니, 또다른 통계물리분야 노벨상 수상자인 Kenneth Wilson과 Giorgio Parisi도 노벨상 받기 이전에 볼츠만 메달을 받은 바 있다.
2024.10.09.
알파폴드(AlphaFold)를 개발한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가 언젠가는 노벨화학상을 받을 거라는 관측은 많았지만, 이렇게 빠르게 시상한 것은 예측을 뛰어넘는다는 편이다. 게다가 딥마인드 외에도, 원래부터 오랫동안 단백질 디자인 및 단백질구조 예측을 해온 대가인 David Baker도 수상을 했다.
물론 Baker는 단백질 연구에 대한 장기간의 큰 기여에 따라 종합적으로 받았다고 보아야 하기는 하며, 노벨상 공식 시상 취지에서는 단백질 디자인 쪽이 더 강조되어 있다. 그러나 알파폴드처럼 AI를 써서 단백질 구조 예측의 대혁신에 주요하게 기여한 연구로서, 2021년 게재 이후 순식간에 Baker의 현시점 최다 인용 논문이 되어버린 로제타폴드(RoseTTAfold)는 다름이 아니라 서울대학교 백민경 교수님이 Baker 그룹에 포닥으로 계실 때 1저자로 직접 개발하신 것이다.
로제타폴드 논문은 당시 알파폴드2랑 같은 날에 출판되어 큰 화제가 되었다. 나는 운좋게도 로제타폴드가 세상에 본격적으로 공개되기도 전에 백민경 교수님의 세미나를 들어 볼 기회가 있었는데 (관련 글 링크 - 클래리티와 로제타폴드: 한국출신 유명과학자들의 강연을 들었던 귀중한 경험들), 비록 백 교수님께 노벨상이 직접 주어지지는 않았지만, 그래핀과 위상부도체라는 2개의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을 세우신 김필립 교수님을 비롯한 몇몇 분들과 더불어서, 노벨상 업적과의 학문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한국인 중 한 분이 되신 듯하다.
2024.10.09.
인공신경망의 패턴학습에 대한 물리학적 연구는 오히려 옛날에 상전이, 무질서계의 이론 등을 바탕으로 꽤 널리 이루어졌었고 (물론 물리학자들의 것만은 아니고 컴퓨터과학, 신경과학/인지과학 등과 함께) 그런 연구들이 축적되고 발전해서 지금처럼 된 것이라, 일각의 잘못된 이해처럼 홉필드 등의 연구의 사소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이제 와서 억지로 물리와 엮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인공신경망 연구의 중심에서 통계물리학이 주도해 온 역사가 있으며 당대에 인공신경망 연구는 명백한 물리학의 한 연구 주제로 취급되었다.
이외에도 내 서재에는 이런 주제들로 된, 국내기관인 APCTP에서 발간한 당대의 국제 프로시딩집도 있는데, 이 프로시딩집이 왜 나한테 흘러들어왔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 시절에는 인공신경망을 제안하고 개선하는 것과, 그 작동원리를 분석하고 입증하는 것 사이의 거리가 지금보다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지금은 인공신경망을 실제로 발전시키는 연구와 인공신경망의 성능의 비밀을 설명, 분석하는 연구 중 전자는 다들 알다시피 어마어마하게 성공하며 커졌고, 우리 통계물리학의 역할은 주로 후자 중에서도 일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듯하다.
지금보다 더 모를 때에 나열 식으로만 썼던 글이긴 한데, 후자의 방향에서 물리학자들의 현재 이론적 관심사에 대해 22년도에 개인적으로 정리해 본 글이 있다 (머신러닝의 물리학: 개괄 및 문헌 소개).
조만간 쓸 기회가 있겠지만, 해당 글에는 없지만 보다 최근에 부상하는 또다른 관점 중에는 바로 고차원 잠재공간의 기하학에서 오는 뉴럴넷의 우수한 표현능력(expressibility)을 무질서계의 통계역학을 통해 분석하는 것도 있다. 이는 사전학습된 거대 모델을 활용하는 최근의 딥러닝 흐름에도 상당히 부합하는 이론적 연구방향으로 보인다.
물리학적 방법 외에 Neural Scaling Law 쪽을 비롯한 대규모 실험연구나, 수학적 증명을 통해 성능을 설명하는 연구, 프롬프팅을 통해 마치 인간 행동을 연구하듯이 LLM을 평가하는 연구 등 여러 방법으로 펀더멘털한 연구들이 많은데, 이들은 실제 딥러닝 업계와 보다 활발히 교류하는 듯하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